“정부 재정·정책 금융·민간 등 세 종류의 재원을 잘 조화시키는 것이 녹색 금융을 작동케 하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
10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FKI)에서 열린 ‘지속가능금융 해외석학 초청 워크숍’에서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정책금융의 역할과 방향성이 모색됐다. 이날 워크숍은 KAIST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이하 KAIST 녹지대)와 (사)우리들의 미래가 공동주최하고 대통령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가 후원했다. 정부, 민간(금융·산업·NGO 등), 학계를 대표하는 고위급 인사와 실무진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한민국의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정책금융의 역할과 방향성을 모색한다는 취지다.
지속가능금융의 세계적 석학인 로버트 에클레스 옥스퍼드 사이드 경영대학 교수, 영국 기후변화위원회 태스크포스 공동 사무국장 겸 옥스퍼드 지속가능금융그룹 창립자인 벤 칼데콧 교수의 기조연설에 이어 녹색금융정책과 거버넌스를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이 진행됐다. 신진창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녹색기금, 녹색채권에 세제 인센티브 더 줌으로써 실물경제 저탄소 이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승호 한국은행 지속가능성장실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재정적 리스크, 전환 트랜지션 리스크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경제에 작용하는지 한국은행에서 살펴보고 있다”며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 수단을 연구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등의 기후테크는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투자자들이 선뜻 투자하기 쉽지 않다”며 “정부 재정과 우리 같은 정책금융기관이 앞장서서 낮은금리의 장기대출을 해주고 후순위투자를 해줘야 민간이 많이 들어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을 발표하고 의견을 수렴 중인 한국회계기준원의 이한상 원장은 “국내뿐만 아니라 노르웨이 국부펀드, 캘퍼스 등 전 세계 연기금까지 이례적으로 260건 이상의 의견이 접수됐다”며 기후공시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김효은 클라이밋웍스재단 산업탈탄소 부문 대표는 다가오는 COP29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 기후 재정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총 6조 달러 규모의 기후 자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 중 1조 달러는 공공금융에서, 나머지인 5조 달러는 민간 부문에서 충당해야하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민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에클레스 교수는 외부 요인에 대한 탄소 가격 책정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그는 “미국에서도 보수당 일부가 이를 지지하고 있다”며 “미국은 민간 금융과 시장의 힘이 강해 정치적 변화와 상관없이 녹색 전환이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2부에서는 녹색금융과 산업전환을 주제로 민상기 탄녹위 에너지조정국장, 이인균 전국은행연합회 본부장, 전윤재 KB금융지주 ESG 사업부장, 유인식 IBK기업은행 ESG 부장, 음광진 포스코홀딩스 탄소중립전략실 리더, 임대웅 UNEP FI 한국 대표 인소영 KAIST 녹지대 교수가 라운드테이블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