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의 국내 일일 이용자 수가 하루 사이 16만명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엄 선포 직후 메신저 검열을 우려한 시민들이 해외에 서버를 둔 텔레그램에 대거 가입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6일 한겨레가 모바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로부터 받은 모바일인덱스 자료를 보면, 지난 3일 하루 동안 텔레그램의 일일활성이용자(DAU)는 152만3970명으로 계엄 선포 전날인 2일(136만5329명)에 견줘 15만8641명(11.6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모바일 앱장터(구글 플레이·앱스토어)의 매출 추정치 데이터 등을 분석해 추정한 결과다.

텔레그램 일일활성이용자는 지난주 평일(11월25일~29일) 하루 평균 132만8523명을 기록하며 130만명대를 꾸준히 유지하다가 주말(11월30일~12월1일) 사이 110만명대로 꺾였다. 계엄 선포 전날이자 월요일인 지난 2일에는 130만명대를 회복한 뒤 계엄이 선포된 3일 150만명대로 이용자가 급증했다. 지난달 4일부터 이달 3일까지 한 달간 텔레그램 일일 이용자 수가 140만명대를 돌파한 건 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3일이 유일하다.

세계 각국의 권위주의 정부는 시민들의 저항을 진압할 때 가장 먼저 인터넷을 차단하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통제에 나섰다. 지난 2019년 민주화 시위가 일었던 홍콩의 경우 계엄에 준하는 비상조치인 긴급정황규례조례(긴급법)가 발동되자 법원이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민주화 시위 관련 글을 쓰지 못하도록 하는 임시명령을 내렸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시민들의 ‘디지털 피난’ 현상에 대해 “계엄법이나 헌법에 통신의 자유까지 제한할 수 있는 조항은 없다”면서도 “지금도 검경 수사에서 휴대전화 압수수색 등이 가능한데 비상계엄 땐 그와 같은 일들이 광범위하게 행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타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171472.html?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headlines&utm_content=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