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취임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 집권 2기의 ‘미국 우선주의'(Ameriac First)를 앞세운 일방통행 외교가 세계 곳곳에서 갈등 또는 불화를 낳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작정한 듯이 그린란드와 파나마 운하에 대한 무력 사용 가능성을 언급해 해당 국가들(덴마크, 파나마)을 발칵 뒤집었다. 관세 유탄을 맞은 캐나다 총리는 사퇴 의사를 밝혔고, 멕시코 대통령과도 갈등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역시 아직은 트럼프의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방위비 분담금과 관세 등 큰 압박을 받고 있다.
◆취임식 초대받지 못한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이달 20일(현지시간) 열리는 트럼프 당선인 취임식에 불참할 가능성이 커졌다. 12일 EU와 주요 외신에 따르면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취임식이 한 주 정도밖에 남지 않은 현재 취임식 초청장을 받지 못했다.
파울라 핀호 EU 집행위 수석 대변인은 지난 10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초청장을 받으면 검토하겠지만 현재로서는 참석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차기 미 행정부와 조기 접촉을 모색할 것”이라면서도 “20일(취임식) 전후 언제일지는 당장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미 대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7일 처음 통화한 이후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대화하지는 않았다고 집행위는 전했다. 정권 인수기간은 외교안보·통상 정책의 얼개를 짜는 때인 만큼 고위급 접촉이 활발히 이뤄지는 게 일반적이다. 취임식에 아예 초청장을 보내지 않은 것은 조 바이든 대통령 재임 기간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을 고리로 밀착했던 EU와 미국 간 대서양 동맹의 ‘역행과 불화’의 전조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재임 시절 유럽의 저조한 방위비 지출, 철강 고율관세 부과 등으로 EU와 내내 갈등을 빚었다. 재선에 성공하자 대(對)EU 무역적자를 언급하며 미국산 석유·가스를 더 구매하지 않으면 ‘끝장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했다.
EU의 빅테크 규제 정책을 두고도 충돌할 가능성도 있다. EU는 지난해 3월 ‘빅테크 갑질방지법’으로 불리는 디지털시장법(DMA)을 시행하자마자, 미국 기업인 구글·애플·메타를 상대로 조사에 착수했다.
자존심이 상한 캐나다와 멕시코도 미국에 막무가내식 엄포에 대해 반발하고 나서고 있다. 사임을 앞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위협에 대해 “우리도 보복 조치에 나설 준비가 됐다”며 맞불전을 예고했다.
트뤼도 총리는 12일(현지시간) 방송된 미국 MSNBC ‘인사이드 위드 젠 사키’에 출연해 미국의 새 정부와 무역전쟁을 하려는 것은 아니라면서도 미국이 캐나다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보복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번(트럼프 1기 때) 우리가 그렇게 했듯이 필요시 관세로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우리(미국과 캐나다)는 제1의 수출 파트너로, 양국의 국경을 두껍게 만드는 어떤 일도 미국 시민과 일자리에 피해가 초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0년 멕시코 헌정사에서 첫 여성 국가원수인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이 트럼프 당선인과 대화를 우선하면서도 ‘끌려다니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멕시코시티 소칼로 광장에서 연 취임 100일 기념행사에서 “차기 미 행정부와 조정하고 협력하되 절대 종속되지 않을 것”이라며 “멕시코와 미국이 서로 존중하며 대화를 우선시하는 관계를 맺을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1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