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올해 연도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2월 중 확정·발표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하는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관련기사 3·4면

최 권한대행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국가 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되는 80% 수준까지 안정화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올해 3.8%) 범위 내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나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높은 경계 의식을 갖고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유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참석자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간 가계부채 비율이 2004년 이후 17년 연속 상승하고 특히 코로나 기간 급등해 2021년 말 98.7%까지 치솟았으나 2022년 이후 3년 연속 하락해 코로나 이전 수준에 근접한 90%대 초반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다만 최근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수준 이상으로 다시 증가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어 주재한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조치 외에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 조치 동향과 해당 조치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대응 방향을 점검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 자리애서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의 트럼프 행정부 통상정책에 대한 대응 동향을 파악하는 한편, 우리의 입장과 협력 방안을 미국 신정부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대미 아웃리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박성택 산업부 1차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432232?ntype=RANKING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