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사의 데이터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무단으로 도용한 정황을 포착하고 조사에 나섰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와 MS가 딥시크 관련자들이 오픈AI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획득됐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픈AI는 중국에 기반을 둔 기관들이 자사의 AI 도구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빼내려고 한 여러 시도를 목격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른 모델의 출력 결과를 훈련 목적으로 사용해 유사한 기능을 개발하는 ‘증류’(distillation) 과정으로 보인다.
MS 보안 연구원들도 지난해 가을 딥시크와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오픈A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사용해 대량의 데이터를 빼돌리는 것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자사의 모델을 증류하려 한다고 의심되는 계정을 금지했으며, MS와 협력해 배후 주체를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중국 기반 기업들이 주요 미국 AI 기업의 모델을 지속적으로 증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적과 경쟁자가 가장 강력한 미국 기술을 탈취하려는 노력을 막기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앞서 딥시크는 오픈AI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성능의 AI 모델을 개발해 미국 테크 업계에 돌풍을 일으켰다. 일각에서는 딥시크가 오픈AI의 데이터를 도용했기 때문에 비용을 낮출 수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AI·가상화폐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도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오픈AI의 독점 모델을 이용해 기술을 개발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며 미국에서 지식 재산을 훔쳤는지 묻는 말에 “가능하다”고 답한 바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754647?ntype=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