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선다는 뜻의 ‘독립’은 실제론 생각만큼 쉽지 않다. 많은 사람이 어느 시점이 되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독립을 요구받는다. 청소년기에는 간섭받기 싫다는 이유로 부모로부터 주거 독립을 하고, 경제적으로 독립하길 꿈꾼다. 그렇지만, 정작 취직해서 돈을 벌고, 새로운 집을 꾸리고, 일터에서는 자기만의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는 등 끊임없이 독립을 요구받게 되는 시기에는 완전한 독립이 쉽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어차피 인간은 혼자라는 말처럼 모두가 독립해야 하고, 웬만하면 잘해야 한다. 홀로서기에 실패하면 오롯이 그 책임은 나의 몫이 되는 세상에서 잘 독립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생활 인문 잡지 ‘한편 15호’는 “길을 찾는다는 것은 길을 잘 아는 가이드를 찾는 것”이라면서 ‘독립’이라는 주제로 8명의 필자가 희곡, 강의, 대담, 취재 노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각을 펼쳐낸다. ‘한편’은 하나의 주제로 인문 사회과학 분야 여러 젊은 연구자들이 1년에 3번 만드는 잡지다.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상호 관계에 관해 연구하는 김강기명 전임연구원은 ‘독립 너머 연립’이라는 글에서 스피노자 철학을 바탕으로 독립보다 연립하는 삶을 말한다.
김강 연구원은 우리가 가진 독립의 욕구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시대적 산물이며, 오늘날 우리가 가진 독립의 욕구는 그보다 훨씬 자연스러운 연립의 욕구를 배제한다고 지적한다. 개인을 능력이나 소유물의 독자적 소유자로 보는 소유자 개인주의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며, 그렇기 때문에 개인 간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그러다 보니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황에 놓이게 한다. 이 소유자 개인주의는 오늘날 신자유주의와 능력주의를 떠받치고 있는 전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소유자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해서는 출산율 저하와 인구 감소, 돌봄 위기, 기후 위기 등 현재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개체와 개인은 독립적이지만 외부와 상호작용 속에서 새롭게 정의된다는 스피노자의 사회계약론을 근거로 타인과 협력을 통해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을 때 새로운 독립된 개체가 될 수 있다고 김강 연구원은 주장한다.
이는 홀로서기보다 함께 자유롭기를 실천해 온 이들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공동체 은행 빈고의 활동가 지음은 ‘독립은 함께 살기다’라는 글에서 자기만의 공간을 얻은 뒤 오히려 더 부자유해진다는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 성별, 나이, 소득수준이 모두 다른 이들이 함께 살며 서로에게 의존하면서 갈등을 자유롭고 평등하게 해결할 방법을 실천하는 ‘빈집’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 밖에도 극작가, 인류학 연구자, 국제분쟁 전문기자, 고등학교 교사, 디지털성폭력근절 활동가 등은 저마다 독립과 함께하는 삶에 관해 이야기한다. 이들이 말하는 내용과 형식, 방법은 모두 다르지만 “독립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점과 “모든 사람은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무수히 많은 이들에게 의존해 산다”는 점에 대해 입을 모은다.